할렐루야. 3년 동안 대만세일 목장을 섬기며 자연스럽게 이웃을 섬기는 것을 배우고, 이웃을 사랑하는 법과, 대화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그러나 목장은 그럭저럭 은혜로 잘 되었던거 같았지만, 정작 세상에 나아가 회사 안에서는 사람들을 섬기는 것은 저에게 쉽지 않았습니다. 특별히 회식자리에서는 더욱 그러하였습니다.
Hallelujah. After three years of serving the Taiwan-Sale House Church, I naturally learned how to serve my neighbours, how to love them, and how to talk to them. But while the House church seemed to be going well, it was not easy for me to go out into the world and serve people in the company I work at, especially when I am having a meal with them.
예수님을 인격적으로 만나 술도 안먹게 되고, 세상이야기가 넘쳐나는 오가는 말투 속에 재미가 없었던 저를 깨닫게 되면서 내가 있어야 할 곳이 아닌 것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한번은 어쩔 수 없이 가야되는 회식자리가 있어 안가게 해달라고 기도를 했었던 적이 있었는데, 하나님께서 가서 목장을 섬기는 것과 같이 그 자리를 섬기라는 마음을 부어 주셨습니다.
As I met Jesus personally, stopped drinking, and realised that I wasn't having fun in the midst of all the worldly talk.I felt like I wasn't where I was supposed to be. I remember once praying that God would find a way to stop me go to a company dinner party that I had no choice but to go to. But He put it on my heart to go and serve the place like I would serve my House Church.
그러고 픽업 부터, 술잔이 비면 따라드리고, 고기 굽기, 필요한거 가져다 드리기, 드롭 오프 까지 섬기는 것이라면 자신 있었던 저는 그 회식자리를 통해 사람들을 섬기는 장소로 바꾸었습니다.
And I went from being confident in my ability to serve - from picking up, to pouring drinks, to grilling meat, to doing what they needed. Even to dropping them off home - to serving people through that dinner table.
그러면서 더 이상 회피의 자리가 아닌, 저에게 있어 또하나의 섬기는 자리가 되면서 그 자리가 내가 없어서는 안되는 자리로 기쁨으로 참석할 수 있었습니다. 더 감사한 것은 그런 작은 섬김을 통해서 감동을 드리고 예수님의 사랑을 조금이나마 드러낼 수 있는 것에 더 감사했습니다.
In doing so, it was no longer a place of avoidance, but rather another place of service. A place that I could joyfully attend where people needed me to be in. I was even more grateful to be able to make a difference and show a little bit of Jesus' love through small acts of service.
얼마전 저희 회사 제일 높은 사장님이 방문하여 20 명 정도 되는 큰회식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배운 대로 섬김의 장으로 회식을 대하려 했지만, 그 동안 했던 회식이랑은 다른 큰 회식이여서 긴장을 했지만 목장과, 초원목장에 기도제목을 내며 ‘지혜롭게 이 회식 자리를 섬길 수 있기를’ 기도제목을 내고 기도하였습니다.
The other day, the CEO of our company came to visit, and we had a big dinner with about 20 people. I tried to treat the dinner as a place of service as I had been taught, but it was a different big dinner from the ones I had been to before. So I was nervous, but I asked for prayer in my house church and to the pastor, saying, ‘May I serve this dinner in a wise way.’
배운대로 목장에서 하는 것 대로 행하였습니다. 술 때문에 차를 못가지고 가는 분들을 위해 픽업 서비스와 고기 굽기 등등 닥치는 데로 섬기고, 고기도 닥치는 데로 먹었습니다.
그렇게 회식자리 무르익을 무렵에 옆옆 테이블에서 저를 유심히 보셨던 분이 있었습니다. 그 분이 저에게 질문을 하기를 ‘상호씨는 술을 안드세요?’ 라는 질문을 하였습니다.
We did what we were taught to do on the ranch. I served as much as I could, including picking up people who couldn't get to their cars because of alcohol, and grilling meat.
Towards the end of the meal, there was a man at the next table who noticed me and asked me a question: ‘Do you not drink?’
처음에는 ‘네, 술은 안먹습니다.’ 라고 대답해 드리며, 다시 고기를 구었습니다. 그러나 그분이 한번 더 물어보았습니다. ‘못드시는 건지 아니면 안드시는 건지, 무슨 이유 때문에 안드시는 건지’ 진지하게 물어보셨습니다. 제 마음 속에 “이 때다!” 라는 엄청난 자신감과 예수님을 드러낼 수 있는 부푼 마음과 함께 자신 있게 저는 ‘크리스찬이기 때문에 안먹습니다’ 라고 당당하게 이야기 했습니다.
At first, I replied, ‘Yes, I don't drink alcohol,’ and went back to grilling meat. But then he asked me again, ‘Is it because you can't, or because you don't, or for what reason?’ He asked me seriously. With a tremendous sense of ‘This is it!’ in my heart wanting to reveal Jesus, I confidently said, ‘I don't eat it because I'm a Christian.
그 순간 살짝 정적이 흘렀습니다. 저는 다시 무안해진 손을 들고 고기를 꾸었습니다. 그러자 저에게 질문 했던 과장님이 콧방귀를 끼며 저에게 당당하게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내 옆에 취해있는 얘도 크리스찬 이라고, 심지어 얘는 이름도 요셉이라고” 저에게 당당하게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There was a moment of silence, and I grilled the meat again, and then the manager who had questioned me snorted and told me, ‘The drunk next to me is also a Christian, and his name is even Joseph.’
저는 멋적은 웃음과 함께 다시 고기를 꾸었습니다. 그 과장님의 말씀이 제 마음속에 맴돌며 마음이 아프기 시작했습니다.
생각해보니 제가 술을 따라 드리던 저의 테이블 앞자리 두분과 제 옆에 후배 분도 다 크리스찬이 였던 것을 깨달았습니다.
I just smiled awkwardly and went back grilling meat, as his words echoed in my mind and began to break my heart.
As I thought about it, I realised that the two men at the front of my table, whom I was pouring drinks for, and the junior next to me, were also Christian.
그러면서 들었던 생각은 제가 크리스찬이라고 떠들면, 세상사람들이 예수님을 알것이라고 생각했던 제 생각이 착각이였음을 깨달았습니다.
크리스찬은 세상에 없는 것이 아니라, 크리스찬은 세상에 있지만 세상 사람들과 구별되지 않는 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I realised that I had been mistaken in thinking that if I said I was a Christian, the world would know about Jesus.
I also realised that there are Christians out in the world, but that Christians are not living as called out people of God.
그렇게 회식이 끝나고, 다음 날 “열매로 보여라” 라는 제목으로 허민 목사님의 칼럼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 칼럼을 통해 저를 위로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했습니다.
그 칼럼에는 마음에 와닿았던 부분을 읽어 드리겠습니다. “성경에서는 열매를 두가지로 표현하는데, 첫번째는 나를 통해 전도된 영혼들을 말씀하셨고, 두번째는 내 삶에서 주님의 은혜로 변화된 성품도 열매라고 말씀하십니다.
After the meeting, the next day, I came across Pasto Min's column titled ‘Be seen by your fruit.’ I experienced God's grace in comforting me through it.
‘The Bible describes fruit in two ways: First, the souls evangelised (saved) through me, and second, my character changed by the Lord's grace in my life.
이 두가지를 모두 포함하여 세상은 우리들의 삶에서 ‘그리스도의 열매’가 맺어지고 있느냐는 질문을 하고 있던 것입니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이제는 교회가 세상에 줘야 합니다. 말로 할 것이 아닌, 열매로 해야 합니다.”
Including both of these, the world was asking the question, is the ‘fruit of Christ’ being produced in our lives? The answer to this question must now be given by the Church to the world, not with words, but with our fruit.’
허민 목사님의 칼럼을 통해 감사의 기도를 드렸습니다. 술을 먹는 것을 좋아하고, 못 먹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 때문에 믿음이 적은 사람이 걸려넘어진다면 안먹겠다는 고백이 제 안에 있을 수 있게 변화된 열매를 주신 하나님께 감사를 드렸습니다.
I prayed a prayer of thanksgiving for Pastor Min's column. I thanked God for the fruit that has been changed in me. Even though I can drink alcohol, but that I won't drink it if someone with less faith stumbles because of it.
그리고 말보다 열매로 보여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며, 그것은 세상 사람들을 말보다는 사랑으로 섬길 때 감동과 기쁨이 전해 진다는 것을 다시한번 깨닫게 되며 다시한번 자신감을 회복하였습니다.
And I realise once again that I should be seen by my fruits rather than by my words.Also, when I serve the world with love rather than words, I am at peace and joyful, and I regain my confidence once again.
앞으로의 인생이 하나님의 풍성한 열매로 가득채워 주실 예수님께 감사하며 간증을 마치겠습니다. 간증을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I will conclude my testimony by thanking Jesus that the rest of my life will be filled with the abundant fruit of God. Thank you for listening to my testimony.